이어령 “남은 시간 동안 유언 같은 책을 완성하고 싶다”

07월 04일(금)

홈 > 금주의 인물 > 금주의인물
금주의인물

이어령 “남은 시간 동안 유언 같은 책을 완성하고 싶다”

   

2019.01.11 11:53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이어령(87) 전 문화부 장관이 최근 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암 투병 사실을 밝혔다.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를 받지 않는다는 그는 “남은 시간 동안 유언 같은 책을 완성하고 싶다”고 했다.

이 전 장관은 의사로부터 암 선고를 받았을 때 철렁하는 느낌은 있었지만 절망하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오히려 남은 시간이 한정돼 있음을 일깨워줬다는 것이다.

“‘그래. 내가 암이야. 어떻게 할까?’ 여섯 살 때부터 지금껏 글을 써온 게 전부 ‘죽음의 연습’이었다. ‘나는 안 죽는다’는 생각을 할 때 ‘너 죽어’ 이러면 충격을 받는다.

그런데 태어나면서부터 ‘사형 선고’를 받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너 죽어’ 이런다고 두려울 게 뭐가 있겠나.”

이어 사람은 누구나 죽게 돼 있으므로 죽음을 생각하는 삶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껏 살아오면서 내 삶이 가장 농밀한 시기는 요즘”이라고 덧붙였다.

7년 전 소천한 딸 이민아 목사 이야기도 털어놨다. 이 목사는 위암 말기 투병 끝에 지난 2012년 53살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생전 이 목사도 의사로부터 암 선고를 받았으나 당황하지 않았다.

‘수술하면 1년, 안 하면 석 달’이라는 진단을 받고 수술 없이 암을 받아들였다. 이 목사는 마지막 순간까지 책을 두 권 쓰고 강연하며 시간을 보냈다. 이 전 장관은 “딸에게는 죽음보다 더 높고 큰 비전이 있었다. 그런 비전이 암을, 죽음을 뛰어넘게 했다”라고 말했다.


‘예수를 믿는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선 “우리는 '너 예수교 믿어?'하고 묻는다. 그건 교(종교)를 믿느냐고 묻는 거다. '너 신을 믿어?' 하는 물음과는 다른 이야기다. 교를 믿는 것과 신을 믿는 것은 다르다.

인간은 단 1초도 무엇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존재할 수 없다”고 했다.

이 전 장관은 “인간이 죽기 직전에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유언이다. 나의 유산이라면 땅이나 돈이 아니다. 머리와 가슴에 묻어두었던 생각이다. 내게 남은 시간 동안 유언 같은 책을 완성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1990년 초대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비평가, 소설가, 시인, 칼럼니스트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약해왔다. 1956년 ‘우상의 파괴’를 발표하고 등단했으며 ‘지성에게 영성으로’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키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등의 책을 썼다.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금주의 인물 > 금주의인물
금주의인물
Hot

인기 섬김과 나눔의 복지선교회 20주년 감사예배

2024.12.18 |
Hot

인기 여호와께 맡기라!

2024.05.16 |
Hot

인기 유관순 열사 순국 104주기를 추모 콘서트

2024.02.19 |
Hot

인기 충성된 일꾼이 되자

2024.01.02 |
Hot

인기 한국세계선교협의회 KWMA

2023.06.15 |
Hot

인기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보라매)

2022.07.30 |
Hot

인기 대한성서공회 아프리카 6개국에 성경 6만4845부 기증

2022.07.30 |
Hot

인기 CCC 대학생 수련회

2022.07.05 |
Hot

인기 한독사회과학회 이종희 교수가 제16대 회장에 취임

2022.02.23 |
Hot

인기 대학 4년 동안 봉사 1000시간

2022.02.15 |
Hot

인기 창립 70주년을 맞은 한국기독실업인회

2021.08.26 |
Hot

인기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부총회장 후보

2021.05.23 |
Hot

인기 신앙생활 53%소홀해졌다

2021.05.10 |
Hot

인기 ‘2020 한·미 지도자 한반도 평화 포럼

2020.12.06 |
Hot

인기 절망속에서 희망을 향해

2020.11.14 |
댓글 TOP 뉴스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