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면밀한 영조..종묘기록을 통해본 조선

10월 17일(금)

홈 > 일반뉴스 > 문화/스포츠
문화/스포츠

주도면밀한 영조..종묘기록을 통해본 조선

   

2012.02.20 18:35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은 조선 후기 종묘에서 행해진 제사 등에 대한 기록을 담은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의 영인 자료집을 발간했다.

의궤(儀軌)는 조선시대 왕실과 국가의 주요 의례와 의식을 정리한 기록.

의례와 의식의 절차를 꼼꼼하게 담은 의궤는 한국 기록문화의 정수로 꼽히며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한중연 장서각에는 현재 341종 503책의 의궤가 보관돼 있다.

숙종 대에 편찬된 '종묘의궤'의 후속편 격인 '종묘의궤속록'은 1706년(숙종 32년)부터 1842년(헌종 8년)까지 140여 년간 종묘에서 행해진 주요 제사와 규정의 변화, 종묘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 등을 기록한 의궤다.

영조 대부터 헌종 대까지 일곱 차례에 걸쳐 간행됐다. 특히 영조 대에 편찬된 '종묘의궤속록'에는 후일에 일어날 일에 대비해 참고 자료로 삼고자 작성한 항목도 실려 있어 영조의 주도면밀한 성격을 엿볼 수 있다.

자료집 해제를 쓴 이현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영조는 다른 국왕들에 비해 국가 전례의 정비에 심혈을 기울였다면서 "이 책의 곳곳에 비용을 줄이려는 영조의 모습을 통해 검약을 강조하는 영조의 정치철학도 살펴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욱 한중연 장서각 선임연구원은 "종묘의궤속록은 한번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 역사적 흐름을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조선 후기 숙종, 영조, 정조대에 보이는 선왕에 대한 관심은 왕권 강화와 국정 운영에 매우 밀접하게 연관돼 있었는데, 종묘의궤속록은 이러한 변화의 중앙에 있는 종묘를 섬세하게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평했다.

한중연은 이번에 영조 대를 중심으로 한 자료집 1권을 펴냈으며 앞으로 4권을 더 발간할 계획이다. / 민경철 기자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일반뉴스 > 문화/스포츠
문화/스포츠
Hot

인기 3천6명 참여 '핏방울 모양' 기네스 기록

2012.02.24 |
Hot

인기 조선역관이 일본역관에 보낸 한글편지 무더기 발굴

2012.02.22 |
Hot

인기 뭉크의 `절규' 매물로…"8천만弗 넘을듯"

2012.02.22 |
Hot

인기 "경주 출토 목간에서 신라향가 1수 발견"

2012.02.22 |
Hot

인기 한중연 '역주 삼국사기' 14년만에 개정판

2012.02.22 |
Hot

인기 "클래식 미래는 아시아에…" 로열 콘세르트 허바우

2012.02.21 |
Hot

인기 수정주의 뮤지컬의 모범사례 '광화문연가'

2012.02.21 |
Hot

인기 국립국악원 "아마추어 동아리 지원합니다"

2012.02.21 |
Hot

인기 수원 토박이가 그린 수원화성

2012.02.20 |
Hot

인기 무비꼴라쥬서 한국독립영화 36편 본다

2012.02.20 |
Now

현재 주도면밀한 영조..종묘기록을 통해본 조선

2012.02.20 |
Hot

인기 제1회 비룡소문학상 '캡슐마녀의 수리수리약국'

2012.02.20 |
Hot

인기 예술의전당 이사장, 유인촌 전 장관

2012.02.20 |
Hot

인기 '서예 라이벌' 김정희-이광사 친필서첩 발굴

2012.02.16 |
Hot

인기 스위스의 젊은 현대미술가들을 만나다

2012.02.16 |
댓글 TOP 뉴스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