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이 부족하고 위생관리가 부실한 산후조리원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24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현숙(새누리당) 의원에 제출한 산후조리원 합동점검 결과에 따르면 점검 대상 83곳 중 51곳(61%)에서 기준 위반사항이 발견됐다.
지난 6월 20일~7월 3일에 실시한 이번 합동점검에서 드러난 주요 위반사항은 ▲요람 간격 기준 위반(15곳) ▲간호 인력 미달(14곳) ▲유통기한 경과 등 식품위생 기준 위반(13곳) ▲종사자 건강검진 미실시(6곳) 등이었다.
복지부는 문제점이 드러난 산후조리원에 대해 지난 7월 19일 시정조치(34건)와 행정지도(30건) 등 행정처분을 내리라고 해당 자치단체에 요청했다. 그러나 복지부는 행정처분 요청만 한 채 지난 3일까지 조치 내역을 보고받지 않고 방치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한편, 지난 2008년부터 지난 5월까지 전국 산후조리원에서 발생한 산모·신생아 사망 및 감염 사례는 18건이 보건당국에 보고됐다.
지난 2010년 발생한 사망 사례 1건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돌연사였다. 감염 사고는 로타바이러스 장염(8건), 폐렴(6건), 호흡기질환(2건) 등 총 17건이었다. 부실한 위생 관리와 감염 사고 등에 따라 소비자 불만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소비자원이 접수한 산후조리원 불만 민원은 지난 2008년 201건에서 지난해 660건으로 3배 이상 증가했으며 올 들어 8월말 현재 549건을 기록했다. 김 의원은 "산후조리원 관리·감독 기준을 강화하고 현장점검을 철저히 해서 이용자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